본문 바로가기
>
금융/주식종목분석

엔비디아(NVDIA) - 기업 조사

by 맥쭈 2024. 7. 1.

작성일: 2024. 07. 01

 

참고자료

KB증권_기업_해외기업_20240620094939.pdf
1.29MB
NVDA-Company-Overview.pdf
13.02MB
NVDA-F1Q25-Quarterly-Presentation-FINAL.pdf
3.82MB

 

 

요약과 결론

 현재 NVIDIA의 주력 사업은 GPU를 중심으로 AI컴퓨팅 플랫폼에 필요한 인프라를 판매하는 것이다.

생성형AI의 등장으로 강한 수요가 발생하며 매출과 이익이 성장하고 있고 적어도 2024년까지는 강한 수요가 예상된다.

다만, 정량적으로 얼마의 수요가 더 발생할 것인지, 언제까지 수요가 있을 것인지 가늠이 안되어 밸류에이션

수요 업체의 인프라가 어느정도 구축 완료 되는 시기는 도래할텐데 언제 인지 알기 어렵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추가 매수는 하지 않고 실적 추이와 새로운 성장 동력의 발굴을 지켜본다.



비전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풀스택 가속 컴퓨팅 플랫폼





사업 내용

 1. 핵심사업

  1) GPU 설계 및 판매

  2) 슈퍼 컴퓨팅 데이터 센터를 위한 인프라 판매(컴퓨팅칩, 네트워크, S/W, 클라우드 서비스)



 2. 잠재 성장사업

  1) 로봇(자동차, 휴머노이드)





사업 현황

생성형AI의 등장으로 인해 AI붐이 일어나는 2023년도를 기점으로,
GPU를 중심으로하여 AI용 데이터센터 인프라 판매가 매출의 87%, 영업이익의 93%를 차지하는 주력 사업이 되었다.

2023년 데이터센터용 GPU 출하량 기준 시장 점유율은 98%(385만대 중 376만대)로 현재는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엔비디아의 하드웨어를 잘 사용하기 위한 ‘쿠다(CUDA)’ 플랫폼을 제공하여 소프트웨어 생태계 역시 장악하고 있다.

주력 제품인 H100의 차세대 제품으로 ‘블랙웰’을 출시한 가운데, 블랙웰의 수요 역시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




 

 

 

 

 

 

 






재무 상태

  • 자본($49,142M)이 부채($27,930M) 보다 많고
  • 현금 및 현금성자산($7,587M)이 단기부채($1,250M) 보다 많고
  • 유동자산($53,729M)이 유동부채($15,223M) 보다 많아 양호한 상태.





미래 전망

향후 1~2년간은 NVDIA 솔루션의 솔루션이 강할 것 같다.

다만, 정량적으로 그 수요가 얼마나 되는지 가늠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그 수요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겠다.

각 수요자들이 어느정도 인프라를 갖추고 나면 더이상 지금처럼 강한 수요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고,

이는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매출 추이와 새로운 성장동력에 대한 트래킹이 중요할 것 같다.

 




성장 가능 스토리

  • 생성형 AI기술의 발전 및 보급으로 GPU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 GPU 판매 외 자율주행, 로봇 등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한다.




주요 지표 트래킹




리스크

  • 경쟁 업체의 기술 개발
  • 수요 업체의 자체 칩 개발
  • 수요 업체의 인프라 구축 완료로 인한 수요 둔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