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장사를 하는 기업
1. 도메인이 뭐야?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찾을 때 naver.com 같은 주소를 사용하지? 이걸 "도메인 이름(domain name)" 이라고 해. 하지만 컴퓨터는 이런 글자 주소를 이해하지 못하고, 대신 숫자로 된 IP 주소(예: 223.130.195.95)를 사용해.
그래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이라는 것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해.
2. 베리사인은 뭘 하는 회사야?
베리사인은 인터넷에서 ".com", ".net" 같은 최상위 도메인(TLD)을 관리하는 회사야. 쉽게 말해, .com이나 .net 주소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유지·관리하는 핵심 역할을 해.
✅ 주요 업무
- 도메인 등록 관리
- 우리가 abc.com 같은 도메인을 등록할 때 직접 베리사인에 등록하는 건 아니야.
- 고대디(GoDaddy) 같은 도메인 등록 업체(레지스트라)를 통해 신청하면, 베리사인이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반영해줘.
- DNS 관리
- 전 세계 사람들이 .com이나 .net 웹사이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DNS 서버를 운영해.
- 예를 들어, 누군가 google.com을 검색하면, 베리사인의 시스템이 그 주소를 실제 웹사이트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해 연결해줘.
- 보안 서비스 제공
- 인터넷이 해킹당하지 않도록 DNS 보안 기능(DNSSEC)도 제공해.
- 기업들이 안전한 웹사이트를 운영하도록 SSL 인증서 같은 보안 관련 서비스도 했었는데, 이건 다른 회사(디지서트)에 매각했어.
3. 왜 베리사인이 중요해?
✔ 전 세계 인터넷 주소 시스템의 핵심 역할
✔ .com과 .net 도메인 운영을 독점적으로 담당 (이 권한을 ICANN이라는 기관과 계약을 맺고 유지 중)
✔ DNS 보안 기술을 제공하여 인터넷 안정성을 유지
돈은 어떻게 버는가?
💰 1. 도메인 등록 비용 (가장 큰 수익원!)
베리사인은 ".com"과 ".net" 도메인의 운영권을 독점적으로 갖고 있어. 즉, 누군가 example.com 같은 도메인을 등록하면, 등록비 일부가 베리사인에게 간다.
✔ 수익 구조
- 사람들이 abc.com을 등록하려고 하면, GoDaddy 같은 도메인 등록 업체(레지스트라)에서 신청해.
- 하지만 실제로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건 베리사인이야.
- 그래서 등록 업체는 베리사인에게 일정 금액을 내고 도메인을 등록해.
- 등록된 도메인을 유지하려면 매년 갱신해야 하는데, 그때마다 베리사인이 돈을 벌어.
💡 예를 들어:
- 2023년 기준, 베리사인은 .com 도메인 1개당 $10.26(약 13,500원) 정도를 받았어.
- .com 도메인이 약 1억 6천만 개 이상 존재하니까, 매년 엄청난 돈을 벌지!
📈 도메인 가격 인상
- 베리사인은 ICANN(인터넷 주소를 관리하는 기관)과 계약을 맺고 있지만, 매년 일정 비율만큼 가격을 올릴 수 있어.
- 즉, 도메인이 많아질수록 + 가격이 오를수록 수익 증가!
💰 2. DNS 인프라 및 보안 서비스
인터넷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려면 강력한 DNS 시스템과 보안 서비스가 필요해. 베리사인은 대형 기업과 정부 기관에 보안 강화 DNS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돈을 벌어.
✔ 대표적인 서비스
- DDoS 방어 서비스 (해커 공격 방지)
- DNSSEC 보안 기능 (도메인 해킹 방지)
- 프리미엄 DNS 서비스 (기업이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하도록 지원)
기업들은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큰 손실을 보기 때문에 베리사인의 안정적인 DNS 서비스를 돈 주고 이용하는 거야.
💰 3. 프리미엄 & 경매 도메인 판매
✔ 사람들이 원하는 도메인은 한정적이라, 인기 있는 도메인은 비싸게 팔려.
✔ 베리사인은 특정 도메인을 경매로 판매해서 추가 수익을 올리기도 해.
예를 들어, voice.com 같은 짧고 의미 있는 도메인은 수십억 원에 팔리기도 해.
💰 4. 정부 및 기업 계약
✔ 미국 정부나 대기업과 계약을 맺고 DNS 관련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해.
✔ 특히 군대, 금융 기관, 대형 IT 기업들은 강력한 보안과 안정적인 도메인 운영이 필요하니까, 베리사인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거지.
🚀 정리하면?
✅ ".com", ".net" 도메인 등록비 + 연간 갱신 비용 (주 수익원)
✅ 기업 대상 DNS & 보안 서비스 판매
✅ 도메인 경매 및 프리미엄 도메인 판매
✅ 정부 및 대기업 계약으로 추가 수익 확보
🔍 최종 소비자가 내는 도메인 유지 비용
우리가 example.com 같은 도메인을 등록할 때, 보통 도메인 등록 업체(레지스트라) 를 이용해. 예를 들면:
- GoDaddy
- Namecheap
- Google Domains (지금은 Squarespace에 인수됨)
이런 업체들이 example.com 도메인을 1년 단위로 판매 & 갱신하는데, 일반적인 가격은 연간 $10~$30 정도야.
✔ 예시(2024년 기준)
- GoDaddy: .com 도메인 첫해 $12.99 → 갱신 시 $21.99
- Namecheap: 첫해 $9.58 → 갱신 시 $14.98
- Google Domains (Squarespace): 연간 $12
가격이 업체마다 차이가 나는 이유는, 각 업체가 자체적으로 수수료를 추가하거나 할인 이벤트를 하기 때문이야.
🔍 베리사인이 가져가는 돈은?
베리사인은 도메인을 직접 판매하는 게 아니라, 등록 업체(레지스트라)에게 도메인 운영비를 받는 구조야.
2024년 기준으로 베리사인이 가져가는 .com 도메인 1개당 수수료는 $10.26이야.
- .com 도메인의 운영권을 가진 회사가 베리사인이기 때문에, 모든 등록 업체는 도메인 1개당 이 금액을 베리사인에게 내야 해.
- 그리고 베리사인은 매년 가격을 7%까지 올릴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음.
✔ 예를 들어, 소비자가 1년간 $15을 내고 도메인을 유지한다면:
- 베리사인: $10.26 가져감
- 도메인 등록 업체(GoDaddy 등): $4.74 남음
- 등록 업체는 이 금액으로 마케팅, 운영 비용을 충당하거나 추가 이윤을 남기는 거야.
📊 정리하면?
- 최종 소비자가 1년 동안 내는 도메인 유지 비용: $10~$30
- 그중 베리사인이 가져가는 금액: $10.26 (고정)
- 나머지는 도메인 등록 업체의 몫 (운영비 + 이윤)
DNS 루트 서버 운영
✅ DNS 루트 서버란?
인터넷에서 웹사이트 주소(URL)를 입력하면, 그걸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 필요해. 이 역할을 하는 게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 이야.
그런데 **DNS 시스템의 가장 꼭대기에 있는 핵심 서버가 바로 "루트 서버(Root Server)"**야.
이걸 **"인터넷 주소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하면 돼.
- 총 13개(명칭은 A~M) 가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음.
- 이 서버들이 인터넷의 모든 도메인 검색을 최상위에서 조율함.
- DNS의 "최고 사령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돼.
💡 쉽게 말해:
👉 인터넷에서 모든 웹사이트의 주소 체계를 총괄하는 최상위 DNS 서버들이야! 🌍
✅ 루트 서버의 역할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DNS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자!
🔎 예제: "www.google.com"을 검색하면?
1️⃣ 내 컴퓨터(혹은 스마트폰)가 "www.google.com"이 어디 있는지?" 물어봄
2️⃣ DNS 시스템이 찾다가 루트 서버에 질문
3️⃣ 루트 서버가 ".com"을 관리하는 서버(베리사인이 운영)로 안내
4️⃣ ".com" 서버가 다시 "google.com"의 정확한 위치(IP 주소)를 알려줌
5️⃣ 최종적으로 "www.google.com"에 연결! 🎉
💡 즉, 루트 서버는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지 길을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같은 역할을 해!
✅ 전 세계 루트 서버 13대의 운영 주체
루트 서버는 13개(A~M)지만, 이게 딱 13대만 있는 게 아냐.
👉 전 세계 수백 개의 거점(Location)에서 복제본(미러 서버) 을 운영해서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을 유지하는 거야.
🔹 13개 루트 서버 운영 주체(2024년 기준)
루트 서버운영 기관위치
A | 미국 국방부 정보 시스템국(DISA) | 미국 |
B | USC 정보과학연구소(ISI) | 미국 |
C | Cogent Communications | 미국 |
D | 미국 인터넷 시스템 컨소시엄(ISC) | 미국 |
E | 나사(Ames 연구센터) | 미국 |
F | 인터넷 시스템 컨소시엄(ISC) | 글로벌 |
G | 미국 국방부(DOD NIC) | 미국 |
H | 미 해군 연구소(NRL) | 미국 |
I | 스웨덴(Netnod) | 유럽 |
J | 베리사인(VeriSign) | 글로벌 |
K | 영국 리펙트 NCC(RIPE NCC) | 유럽 |
L | ICANN(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 | 글로벌 |
M | 일본 WIDE 프로젝트 | 아시아 |
💡 베리사인은 J 루트 서버를 운영하고 있어!
✅ 베리사인은 루트 서버 2개 운영!
베리사인은 2개의 핵심 루트 서버를 운영하는 기관이야.
- A 루트 서버: 원래 미국 정부가 운영하지만, 베리사인이 기술적 운영을 지원함.
- J 루트 서버: 베리사인이 직접 운영하는 루트 서버 (미국과 글로벌 거점)
📌 A 루트 서버는 'DNS의 원조'라서 가장 중요해.
📌 J 루트 서버는 베리사인이 완전히 관리하는 서버.
즉, 베리사인은 인터넷의 근간이 되는 DNS 시스템의 최상위 일부를 직접 운영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어!
✅ 왜 루트 서버가 중요할까?
✔ 인터넷 주소 체계를 유지하는 핵심 인프라야.
✔ 루트 서버가 없으면 도메인 검색이 불가능해지고 인터넷이 마비될 수도 있어.
✔ 해커들이 루트 서버를 공격하면 전 세계 인터넷이 느려지거나 멈출 수도 있음.
💡 그래서 베리사인 같은 기업이 루트 서버를 철저히 관리하고, 보안도 강하게 유지하는 거야! 🔒
🔥 최종 요약!
1️⃣ 전 세계에 루트 서버는 13개(A~M) 가 있고, 인터넷 주소 체계를 총괄함.
2️⃣ 베리사인은 A 루트 & J 루트 서버를 운영하는 중요한 기업.
3️⃣ 루트 서버가 없으면 도메인 검색이 불가능해지고 인터넷이 마비될 수도 있음!
4️⃣ DNS 시스템의 최상위 구조를 운영하는 기업이라 인터넷 인프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함!
✅ 루트 서버 운영으로 직접 돈을 벌지는 않아!
DNS 루트 서버는 인터넷의 공공 인프라 역할을 하기 때문에, 베리사인이 직접 돈을 받거나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는 아니야.
✔ 루트 서버는 비영리적인 공공 서비스로 운영됨
✔ 베리사인은 정부 및 ICANN과 계약을 맺고 기술적 운영을 담당
✔ 도메인 등록 수익을 통해 운영 비용을 충당
즉, 베리사인은 루트 서버 운영 자체로 돈을 벌지는 않지만, 도메인 등록 사업으로 번 돈을 이용해 운영 비용을 감당하는 구조야.
✅ 그럼 운영 비용은 누가 내?
루트 서버 운영에는 하드웨어, 네트워크, 보안 유지, DDoS 방어 등 많은 비용이 들어.
이 비용은 크게 3가지 방식으로 충당돼.
1️⃣ 베리사인이 자체적으로 부담
- 베리사인은 .com과 .net 도메인으로 벌어들이는 돈을 이용해서 루트 서버 운영 비용을 감당해.
- 쉽게 말해, 도메인 판매 수익을 통해 서버 운영을 지원하는 구조야.
2️⃣ 정부 및 ICANN 지원
- 미국 정부 및 ICANN 같은 기관에서 일부 자금을 지원하기도 해.
- 특히 A 루트 서버는 미국 정부(국방부)와 협력해서 운영 중.
3️⃣ 기업 및 인터넷 인프라 투자
- 인터넷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여러 IT 기업들이 지원하거나 협력하기도 해.
- 예를 들어, 구글 같은 기업도 자체적으로 DNS 인프라를 운영하면서 협업하는 경우가 많아.
✅ 그럼 루트 서버 운영이 베리사인에겐 어떤 이득이 있어?
비록 루트 서버 운영 자체로 돈을 벌진 않지만, 베리사인에게는 여러 가지 간접적인 이득이 있어!
✔ 인터넷 인프라의 핵심을 운영하면서 신뢰도 & 영향력 확보
- 베리사인은 DNS 시스템을 직접 운영하는 몇 안 되는 회사라서, 전 세계에서 신뢰도가 높아.
- 이는 기업, 정부, ICANN과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됨.
✔ DNS 보안 및 프리미엄 서비스 판매 기회
- 베리사인은 기업용 DNS 보안 서비스(DDoS 방어, DNSSEC 등)를 유료로 판매함.
- 루트 서버 운영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런 서비스를 더 신뢰받고 비즈니스 기회가 생김.
✔ .com, .net 같은 도메인 독점 유지
- 루트 서버 운영을 맡고 있다는 점이 도메인 독점 계약을 갱신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 즉, 베리사인은 DNS 최상위 구조를 운영하는 기술력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장기적인 비즈니스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 결론: 베리사인은 루트 서버 운영으로 직접 돈을 벌지는 않지만, 중요한 역할을 통해 장기적인 이익을 얻는다!
1️⃣ 루트 서버 운영 자체는 공공 인프라이기 때문에 직접 수익을 창출하지 않음
2️⃣ 운영 비용은 도메인 사업 수익 + 정부/ICANN 지원 + 기업 협력으로 충당
3️⃣ 하지만 인터넷 인프라 핵심을 운영하면서 베리사인의 신뢰도와 영향력이 커지고, 이는 장기적으로 이익이 됨
💡 즉, "돈을 직접 버는 건 아니지만, 결국 도메인 사업 유지와 신뢰도 확보에 큰 도움이 된다!" 🚀
'금융 > 주식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CNS 공모주 청약 결정을 위한 분석 (1) | 2025.01.20 |
---|---|
[배당주] 대신증권 기업분석 (11) | 2024.11.16 |
아마존(Amazon) - 기업 조사 (1) | 2024.07.13 |
엔비디아(NVDIA) - 기업 조사 (2) | 2024.07.01 |
테슬라(Tesla) 기업 분석 (0) | 2024.06.22 |
댓글